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학홈
대학원
학부
로그인
HELP
DESK
Toggle navigation
일본어학부
Toggle SEARCH
학부개요
학부개요
학부개요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학부공지
학부공지
학부공지
학부자료/스터디
학부자료/스터디
학부자료/스터디
게시판
게시판
학부공지
스터디방
자유게시판
학부 Q&A
자료실
학부앨범
소모임
양식함
지역모임방
취업 및 워킹홀리데이
학부 보충학습
일본연수체험기
마중물 사랑방(중장년부)
학부일정
한일교류
1:1 전화 회화
시스템관련질문
일본어학Q&A
일본어학부 이벤트
오프특강안내
화상강의안내
강의교재안내
동문회
일본어학부
학부개요
학부개요
교육과정
교육과정
학부공지
학부공지
학부자료/스터디
학부자료/스터디
게시판
학부공지
스터디방
자유게시판
학부 Q&A
자료실
학부앨범
소모임
양식함
지역모임방
취업 및 워킹홀리데이
학부 보충학습
일본연수체험기
마중물 사랑방(중장년부)
학부일정
한일교류
1:1 전화 회화
시스템관련질문
일본어학Q&A
일본어학부 이벤트
오프특강안내
화상강의안내
강의교재안내
동문회
최종 수정일 : 2024-05-23 16:47
한국어학부
Department of Korean
korean@cufs.ac.kr
02-2173-2376
입학지원센터 바로가기
학부홈페이지 바로가기
개요
교육과정
교수진
자격증/수료증
마이크로디그리
학부활동
FAQ
교과목 안내
학습로드맵
한국어교육
한국어
부전공
한국어교육전공 교육과정
한국어교육전공 교육과정
학년
1학기
2학기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1
전선
한국어 어문규정
3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3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3
전선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3
전선
한국어 화법의 이해
3
전선
한국어학의 이해
3
전선
언어학의 이해
3
전선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3
2
전선
한국어 단어의 이해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
3
전선
외국어습득론
3
전선
한국어 어휘교육의 이론과 실제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3
전선
응용언어학
3
전선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3
전선
한국 문학의 이해
3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3
전선
대조언어학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3
전선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3
전선
영어권 한국어교육론
3
전선
한국문화교육론
3
전선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3
전선
한국어교육과 멀티미디어
3
전선
한국어 의미화용론
3
전선
다문화사회 교수방법론 [공동]
3
4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3
전선
동북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3
전선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3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3
전선
한국 대표 문학작품 감상
3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3
전선
다문화사회교육론 [공동]
3
[주의]
위 교육과정상의 과목 중 일부는 학과 사정으로 개설되지 않을 수 있음
영역별 한국어교육전공 교과목
영역별 한국어교육전공 교과목
구분
1학기
2학기
1영역
한국어 어문규정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 단어의 이해
한국어 화법의 이해
(총 4과목)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
한국어 의미화용론
한국어학의 이해
(총 5과목)
2영역
언어학의 이해
외국어습득론
(총 2과목)
응용언어학
대조언어학
(총 2과목)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론
동북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총 8과목)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한국어 어휘교육의 이론과 실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영어권 한국어교육론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한국어교육과 멀티미디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총 7과목)
4영역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한국 문학의 이해
(총 2과목)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한국 대표 문학작품 감상
(총 2과목)
5영역
한국어교육실습
(총 1과목)
한국어교육실습
(총 1과목)
[주의]
20-2학기 이후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수강 시 2020년 8월 국립국어원 심사 결과에 따라 4영역으로 인정됨
[주의]
언어권별 한국어교육론((예; 영어권, 일본어권,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은 국립국어원 심사 시 이수 과목 개수에 상관없이 3영역 1과목(3학점)으로만 인정됨
[주의]
한국어교육실습 과목은 아래 사전 필수 이수 과목을 포함하여 1, 3영역 8과목(24학점) 이상 이수 시 수강 가능함
[주의]
‘대조언어학’은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과 학수번호가 같은 과목임으로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재수강 시 ‘대조 언어학’으로 대체 수강신청이 가능함.
[주의]
22-2학기 이후 ‘한국어 화법의 이해’ 수강 시 2022년 7월 국립국어원 심사 결과에 따라 1영역으로 인정됨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필요한 영역별 필수이수학점 (제13조 제1항관련)
부전공(한국어교원 3급 자격증 과정)
영역
필수이수학점(전공)
1영역
한국어학
6학점
2영역
일반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6학점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24학점
4영역
한국 문화
6학점
5영역
한국어교육실습
3학점
※ 한국어교육실습 사전 필수 이수 교과목
한국어교육실습 사전 필수 이수 교과목
구분
과목명
1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또는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 어문규정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또는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주의]
2022년 이전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론’ 수강자는 한국어교육실습 수강 자격 요건으로 인정함.
×
한국어학부
Department of Korean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